부동산 가치 증대화

라이프사이클 자산관리…연령대별 투자 포인트

LBA 효성공인 2014. 7. 30. 19:24

[한경 Better life]

라이프사이클 자산관리…연령대별 투자 포인트

 

한국경제신문  

 

20대 登高自卑, 급여통장 CMA로 변경(한 발 앞선 자산관리)
30대 積小成大, 장기저축 등 복리 노려야(장기투자)
40대 過猶不及, 주식·채권·예금 비중 조절(다양한 투자 구성)
50대 有備無患, 펀드, 채권혼합형으로 교체(안전재산 비중 증가)
60대 安分知足, 月지급식 펀드·ELS랩 관심 (장기 지출계획)

 


 

 

고금리 시대에는 저축만으로도 일정 부분 자산을 형성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저금리 추세와 물가 상승률,평균수명 증가 등을 고려하면 인생의 항로를 든든하게 지탱해줄 수 있는 적극적인 자산관리가 어느 때보다 필요하다. 누구나 추구하는 삶의 목표는 다양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재무적 안정이 선행돼야 한다. 뚜렷한 목표의식을 갖고 생애주기별로 계획된 자산 관리를 병행한다면 삶의 만족도가 높아질 것이다.

연령대별 재무목표를 살펴보자.20대는 자산관리에 첫걸음을 내딛는 시기고 30는 재산 형성기다. 40대는 재산 증식기, 50대는 재산 증식과 관리가 동시에 이루어져야 하는 시기다. 60대는 재산 관리 및 배분의 시기다.

먼저 20대는 등고자비(登高自卑 · 높은 곳에 오르려면 낮은 곳에서부터 출발해야 한다) 전략이 중요하다. 초기 자산관리 습관을 바르게 형성해야 한다는 의미다. 대부분 사회 초년생의 경우 투자보다는 소비에 관심을 갖는다. 하지만 성공적 자산관리의 우선 요건은 먼저 시작하는 것이다. 빨리 자산관리를 시작하는 만큼 투자 기회도 늘어나며 성공 확률도 높일 수 있다. 급여통장을 일반은행 통장에서 수익률이 높은 CMA로 바꾸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

30대는 적소성대(積小成大 · 작은 것을 쌓아 크게 만듦) 전략이 바람직하다. 30대는 가정이 형성되면서 주택 구입이나 육아 및 자녀교육,부채상환 등 수입에 비해 지출이 늘어나기 시작한다. 저축이 힘들어지게 된다. 그러나 30대가 '제2의 인생'인 노후의 풍요로움을 결정하는 중요한 시기인 만큼 무엇보다 적립투자가 중요하다.

퇴직 이후를 위한 대비는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 10년 이상을 준비한다는 마음가짐으로 일정 금액을 연금 상품이나 장기 저축,장기 주식형 적립식 펀드 등에 투자하면 복리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국내성장주식형 펀드나 차이나펀드와 같은 이머징마켓 펀드도 추천한다.

40대는 재산증식기로 과유불급(過猶不及 · 지나친 것은 미치지 못한 것과 같다) 전략이 필요하다. 40대는 생애주기에서 소득이 가장 높은 시기지만 자녀 교육,자녀 결혼자금 마련,주택 확장,은퇴 준비 등으로 지출의 규모도 늘어난다. 이에 따라 40대는 20~30대 때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지출 계획과 목돈 운용 전략을 짜야한다. 목돈을 굴릴 때는 특정자산에 지나치게 편중하기보다는 주식 채권 예금 원자재 등 다양한 투자대상을 고려해 분산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산관리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본인의 자금계획에 맞춘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주기적으로 점검하는 것도 필요하다.

40대에 은퇴 준비를 시작한다면 다소 늦은 감이 있지만,늦더라도 이 시기엔 반드시 시작해야 한다. 노후에 대한 불안감이 구체화되는 시기이므로 단기간 은퇴자금을 준비하겠다고 적립 금액을 갑자기 늘리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는 오히려 생활에 무리를 주거나 기대수익률을 높여 투자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을 키운다. 적립금액을 일정 수준 유지하면서 장기간 준비하는 게 투자 성과의 변동성도 줄이고 가계 지출의 부담도 덜 수 있는 방법이다.

목돈은 글로벌채권 펀드,원자재 펀드 등 3~5개의 펀드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거나 자산관리형 랩 상품을 활용해 운용할 수 있다. 노후준비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선 가치형 적립식 펀드 및 연금 상품이나 보험사 장기저축을 활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50대는 유비무환(有備無患 · 평소에 준비가 철저하면 후에 근심이 없음) 전략이 필요하다. 50대는 자산 증식과 관리가 동시에 이뤄지는 시기다. 구체적인 은퇴설계가 이뤄지는 시점이기도 하다. 평생 모은 재산으로 편안한 노후생활을 준비해야 하는,돈을 모으는 마지막 시기인 셈이다. 자산관리 목표의 핵심은 은퇴 후 재무적 독립,자녀대학 교육자금 및 결혼자금 마련,상속 및 증여준비 등이다.

 

 

50대라고 하더라도 아직 30년가량을 더 살아야 하기 때문에 투자를 멈춰선 안된다. 적어도 자산의 30%는 자산증식을 위한 공격적인 금융 상품에 가입하는 것이 좋다. 투자 비중을 조절하는 것이 어렵다면 현재 투자 중인 주식형 펀드를 단계적으로 주식혼합형 또는 채권혼합형 상품으로 교체하는 것도 방법이다. 또 건강에 대한 적극적인 관리도 시작해야 한다.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의료비 지출을 줄이는 관점에서 최소한의 보장성 보험 정도는 보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0대 자산관리 전략은 안분지족(安分知足 · 자기 분수에 만족하여 다른 데 마음을 두지 아니함)이다. 쌓아 놓은 자산을 활용하고 상속 및 사회 환원 등을 통해 배분하는 시기다. 또 봉사활동과 레저활동에 나서는 것과 동시에 의료와 건강에도 각별히 신경을 써야 하는 시기이기도 하다. 주요 재무목표는 은퇴 및 노후생활 준비,증여 및 상속 설계 · 실행 등이다.

수입이 줄어들기 때문에 형성된 자산의 수준에 맞춰 자신의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꼼꼼하고 장기적인 지출계획을 세워야 한다. 물가상승 등 자산가치의 하락을 고려할 경우 형성된 자산을 인출만 할 수는 없으므로 투자를 지속하면서 현금 흐름을 창출할 수 있는 증권사의 월지급 서비스를 활용하는 것이 좋다. 채권 펀드 주가연계증권(ELS) 랩도 추천한다. 상속대상으론 부동산만 고집할 게 아니라 자산 분할이 용이한 펀드나 주식을 고려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모든 도전의 성공은 작은 실천에서 시작한다. 자산관리 역시 자신의 연령에 맞춰 작은 것부터 꼼꼼하게 계획하고 반드시 실행에 옮기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 이것이 평생의 자산관리를 성공으로 만드는 가장 중요한 열쇠다.

김종승 한국투자증권 WM사업본부장 jskim@truefriend.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