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정보(경공매 )

배당이의소송후 수령한 배당금에 관한 변제효력 발생시점

LBA 효성공인 2018. 7. 18. 19:18

배당이의소송후 수령한 배당금에 관한 변제효력 발생시점

최영노 변호사 (법무법인 바른)   


144919.jpg

- 대법원 2018. 3. 27. 선고 2015다70822 판결 - 

 

1. 사안의 개요 

   

    

채무자 소유 부동산의 경매절차에서 근저당권자 A(채권최고액 2억원)는 근저당권의 피담보채권이 원금 1억원 및 2016년1월 1일부터 다 갚는 날까지 연 12%의 이자(지연이자)채권이라는 내용의 채권계산서를 제출하였다.


 집행법원은 배당기일(2016. 12. 31.) 위 채권계산서를 기초로 A에게 1억1200만원을 배당하는 내용의 배당표를 작성하였고, 후순위 근저당권자 B가 A를 상대로 배당이의를 하였다.


배당이의소송에서 법원은 B의 청구를 기각하여2017년 12월 31일 A에게 1억1200만 원을배당하는 내용의 배당표가 확정되었고,


A는 그날 공탁된 배당금 1억1200만 원을 수령하였다(사안의 개요는 본 평석에서 다루는 쟁점과 관련되는 부분으로 범위를 한정하고, 법리적으로 동일한 평가를 받을 수있는 범위 내에서 실제 사안을 최대한 간략하게 수정하여 정리한 것이다).

 

2. 이 사건의 쟁점 및 대법원의 판단


근저당권자 A의 채권은 배당기일(2016. 12. 31.)을 기준으로 하면 1억1200만 원이고,


배당표 확정 후 공탁된 배당금을 수령한 날(2017. 12. 31.)을 기준으로하면 1억2400만 원이 된다.


A가 수령한배당금은 1억1200만 원인데


■위 수령에 따른 변제 효과 발생일을 배당기일로 보면A의 채권은 전부 소멸한 것이 되고,


■배당금을 실제로 수령한 날로 보면 A의 채권은 원금 1200만 원이 남게 된다.


A의 배당금 수령에 따른 변제 효과 발생일을 언제로 볼 것인지가 이 사건의 쟁점인데,


이에대해 대법원은 배당표 확정에 따라 A가배당금을 수령할 수 있게 된 날 변제의 효과가 발생한다고 판결하였고,

그 근거로A가 배당금을 현실적으로 수령할 수 없는상태에서 변제의 효과가 발생한 것으로인정할 수는 없다는 점을 들고 있다.

 

3. 평석

본 사안에서 A가 수령한 1억1200만 원에 관한 변제 효과 발생시점은 A가 배당금을 현실적으로 수령한 날이 아니라 배당기일(배당금 공탁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그 근거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대법원의 판단과 같이 해석하면 채무자가 부당한 손해를 입게 된다.


본 사안에서 B의 배당이의가 없었으면 채무자의 A에 대한 채무는 전부 소멸한다.

그런데 채무자와는 무관한 B의 배당이의라는 우연한 사정에 의해 채무자의 채무가 소멸하지 않고 남게 된다고 해석하는 것은 부당하다.


지연이자율이 높고 배당이의소송기간이 길수록 채무자의 손해규모가 커지게 될 것인데 이러한 손해를 채무자에게 부담시켜야 할 합리적인 근거가 없다.


채무자가 배당이의소송 도중에 A에 대한 채무를 변제함으로써 고율의 지연이자 부담을 면하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으나,

현재의 민사집행제도에서 효과적으로 그런 조치를 취할 수단이 있는지 의문이며,

그것이 가능하더라도 채무자에게 그러한 부담을 안기는 것이 타당한지는 의문이다.

그리고 위와 같은 채무자의 손해에 대하여 채무자가 B를 상대로 부당제소로 인한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제기하여

구제받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으나, 불법행위 성립요건 등과 관련하여 현실적인 방안이 될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일 것이다.


 덧붙여, 근저당권자의 채권에 고율의 지연이자율이 적용되고, 채무자의 변제자력이 있는 경우라면, 근저당권자는 일부러 배당이의를 유도하여 배당표 확정시까지 시간을 끄는 방법으로 고금리의 이익을 얻으려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둘째로, 대법원의 판단과 같이 해석하면 제3자의 권리관계에 부당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채권자 E가 채무자에 대해 다음과 같은 2개의 대여금채권이 있고, 그에 대한 담보로 채무자 소유의 부동산에 채권최고액 300만원의 근저당권을 설정했다고 가정한다.

 

[채권1] 대여일: 2015. 12. 31., 금액:100만 원, 이자율: 월 1%, 변제기일:2016. 12. 30., 보증인: 갑

 

[채권2] 대여일: 2015. 12. 31., 금액:100만 원, 이자율: 월 2%, 변제기일:2017. 12. 30., 보증인: 을

 

근저당 부동산에 관하여 다른 근저당권자가 경매신청을 하여 진행된 경매절차의 배당기일(2016. 12. 31.)에 E에게 100만 원을 배당하는 내용으로 배당표가 작성되었고,  후순위 근저당권자인 F가 E를 상대로배당이의를 한 후 배당이의의 소를 제기였으나

 2017년 12월 31일 F의 청구를 기각하는 판결이 확정되어 그날 E가 공탁된 배당금 100만원을 수령하였다고 가정한다.

 

위 경우에 F의 배당이의가 없었다면 E가 2016년 12월 31일 배당금 100만원을 수령하고, 그 배당금은 전부 변제기가 도래한 채권1의 변제에 충당되었을 것이다(채권2의 이자에 일부 변제충당되는 부분은 편의상 무시함).


그런데 F의 배당이의에 따라 2017년 12월 31일 배당표가 확정되고 그날 E가 배당금을 수령함으로써 배당금은 전부 변제이익이 큰 채권2의 변제에 충당된다.


 제3자인 F의 배당이의 유무에 따라 보증인‘갑’과‘을’의 이해관계에 큰 차이가 생기는 것을 알 수 있는데,이러한 결과가 타당한가?

 

이상에서 설명한 문제점은 배당이의 여부와 관계없이 당초의 배당기일에 변제의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해석하면 간단히해결된다(배당이의소송 결과 추가배당을해야 될 경우에는 추가배당의 배당기일에배당 내용에 따라 변제의 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보면 될 것이다).

 

그렇다면 배당이의에 따라 배당표가 확정되지도 않았고 채권자가 배당금을 수령할 수도 없는 상태에서 변제의 효과가 발생하는 근거는 무엇으로 볼 것인가가 문제된다.


채권자 A에게 배당이 되었는데 채권자 B가 배당이의를 한 경우 집행법원은 A에 대한 배당금을 공탁하며, 이 공탁금은 배당이의소송의 판결 결과에 따라 A 또는B가 수령하게 된다.


이 때 집행법원의 공탁은 채권자를 A 또는 B로 한 채권자불확지 공탁과 다를 바가 없다.


채권자불확지공탁의 경우 공탁요건이 갖추어진 공탁이라면 공탁금출급청구권확인판결을 받기전까지 진정한 채권자가 공탁금을 수령할 수 없어도 공탁시점에 변제의 효과가 생긴다.


배당금 공탁의 경우에도 채무자를 대신하여 집행법원이 변제자금인 배당금을 변제공탁하면서 진정한 채권자가 A인지B인지를 과실 없이 알 수 없다는 사유로 채권자불확지공탁을 한 것으로 보지 못할 이유가 없다.


그렇게 해석하면 배당이의소송 결과 채권자 A가 배당을 받게 되든,채권자 B가 배당을 받게 되든, 또는 나누어 배당을 받게 되든, 공탁 시점에 A 또는 B에게 채무를 변제한 효과를 발생시키는데 아무 문제도 없다.


정당한 배당권자가 배당이의판결 확정시까지 배당금을 수령할 수 없으면서도 배당기일에 자신의 채권은 이미 소멸한 것으로 취급되는 불이익을 받게 되지만, 이는 채권자불확지공탁에서의 정당한 채권자가 입는 손해와 동일한 것으로서 감수할 수밖에 없는 손해로 보거나, 뒤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부당제소로 인한 손해배상으로 해결하면 된다.

 

문제는 채무자가 배당이의를 하였으나 채무자의 청구가 기각된 경우인데, 이 경우도 배당이의에 따른 배당금의 공탁을 지급금지사유(채권가압류나 변제금지가처분 등) 발생에 따른 제3채무자의 공탁과 유사한 것으로 보아 공탁 시점에 채무변제의 효과를 발생시키고 채권자의 배당금 수령 지연에 따른 손해는 부당제소에따른 손해배상 문제로 해결하면 될 것이다. 그리고 배당표 확정 문제와 관련해서는 배당이의 소송의 판결에 의해 원래의 배당표가 그대로 확정되거나 경정된 배당표가 확정되었을 때 그 확정의 효력은 당초의 배당기일로 소급되는 것으로 해석하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배당기일에 변제의 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해석함에 따른 채권자의 손해는 배당이의를 제기한 자가 채무자이든 다른 채권자이든 관계없이 그를 상대로 불법행위(부당제소)로 인한 손해배상청구를 통해 해결하면 될 것이다.


이 경우 불법행위의 성립요건(특히 고의 과실) 충족이 문제되어 현실적으로는 손해배상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을 것이나, 이는 배당이의에서만 발생하는 문제가 아닌, 소송에까지 이르는 법적 분쟁에서 공통적으로 발생하는 문제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배당이의를 통해 비로소 배당을 받게 된 채권자의 경우 부당제소에 따른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나, 국가기관의 잘못된 업무 처리에 따른 손해 일반과 같이 취급하면 될 것이다.  또한, 부당제소로 인한 손해배상의 경우 그 손해액은 배당기일부터 배당금 수령일까지의 배당금에 대한 법정이자에서 공탁금이자를 공제한 금액이 될 것인데,


채권자의 채권이 고율의 지연이자가 있는 채권인 경우 실제로 배당금을 수령한 날까지의 지연이자를 배상받지 못하는 결과가 생길 수도 있으나,


배당이의에 따른 채권자의 손해는‘배당기일에 배당금을 받지 못한 손해’이지


‘배당금을 받을 때까지 고율의 이자를 보장받지 못한 손해’라고 볼 수는 없을 것이므로, 법정이자 상당액의 손해배상으로 채권자의 손해는 전보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이유로 본 판결의 결론에반대한다.

 

최영노 변호사 (법무법인 바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