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LM 모형
IS-LM 모형은 거시경제에서의 이자율과 국민소득과의 관계를 분석하는 경제모형이다.
현재 물가(P)가 고정되어 있다는 가정하에 한 경제 주체의 국민소득(Y)를 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 경제가 어떻게 이루어지며, 변동하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 분석의 목적이지만, 궁극적으로는 정부의 재정 정책(fiscal policy)과 통화 정책 (monetary)의 효과와 그 영향을 살펴보는 데 의의가 있다.
IS곡선(실물시장)은 시장에서 모든 재화와 서비스를, 그리고
LM곡선(금융시장)은 화폐시장에서의 수요와 공급이 총 생산(Y) 와 이자율(r)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나타내는 곡선이다.
의의[편집]
IS-LM모형은 이자율과 상품과 재화의 생산과 화폐시장에 대한 거시경제학적인 도구이다.
IS곡선과 LM곡선의 교차점에서는 모든 시장이 동시에 균형이 되는 것을 의미하는 일반균형이 성립한다.
■IS곡선에서의 IS는 투자(Investment)와 저축(Saving)을 의미하고
■LM곡선에서의 LM은 유동성 선호(Liquidity preference)와 화폐 공급(Money supply)을 의미한다. 그리고 IS-LM모형은 개방경제에서 먼델-플레밍 모형으로 확장될 수 있다.
IS 곡선[편집]
IS 곡선이란 생산물(재화) 시장의 균형을 달성하는 소득과 이자율의 조합을 (, )평면에 나타낸 것을 말한다. 생산물 시장의 균형은 생산물 시장의 유효수요(소비+투자)와 공급[1]이 일치하는 것이다. 소비는 국민소득-저축이므로, 수요와 공급이 일치하는 점에서는 투자와 저축이 반드시 같아진다. (케인즈의 기본모형으로도 설명 가능하다. 케인즈는 대부시장보단 화폐시장에 관심을 가졌고 총수요에 의해서 총공급이 결정된다고 보았다.)
- 유효수요 (Yd)[1] = 소비 (C) + 투자 (I)
- 총공급 (Ys) = 국민소득 (Y)
C ≡ Y − 저축 (S) 이므로 Y = C + S 이며,
생산물 시장의 균형 조건은 Yd = Ys 에서 C + I = C + S, 즉 I (투자) = S (저축)
이자율이 내려가면, 저축을 하는 것보다 투자를 하는 것이 이익이 되기 때문에 투자가 증가하고, 투자의 증가분에 따른 승수효과에 의해 유효수요가 증가한다. 이에 따라 생산물 시장의 새로운 균형점에서는 국민소득이 증가하게 된다.
균형을 이루고 있는 점에서는 반드시 저축이 투자와 일치하기 때문에, 이자율 감소에 따른 투자의 증가분이 저축의 증가분과 같아질 때, 생산물 시장은 균형을 이루게 된다.(S=I)
이 지점에서의 이자율과 국민소득의 조합을 보여주는 곡선을 IS 곡선이라고 한다. 이 곡선은, 세로축에는 이자율, 가로축에는 국민소득을 놓고,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면 우하향하는 곡선이 된다.
만약 경제가 IS 곡선의 좌측에 있다면, 이자율의 감소로 투자가 증가하거나 국민소득의 감소에 따라 저축이 감소할 것이다. 따라서 S < I 가 되어, 초과수요가 발생하게 된다. 반대로 IS 곡선의 우측에 위치한 상태라면 생산물에 대한 초과공급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즉, 경제가 IS 곡선 상에 있지 않은 경우는 균형을 이루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투자의 이자율 탄력성이 클수록 IS 곡선의 기울기는 완만해진다. 또 이자율이 일정할 때, 투자(I)가 증가(또는 승수 값의 증가)하거나, 소비(C), 정부지출(G), 순수출(NX)이 증가에 따른 총수요(I + C + G + NX)가 커지면 IS 곡선은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또한 총수요(I + C + G + NX)에서 소비C=C0+C1*(Y-T) 즉 소비=독립적 소비지출 + 한계소비성향*가처분소득 으로 나타낼 수 있는데 이때 T(세금) 이 줄어들어도 가처분 소득이 늘어나 총수요를 증가시킴 으로 IS커브를 우측으로 이동 시킨다.
LM 곡선[편집]
LM 곡선이란 화폐시장의 균형이 달성되는 국민소득 Y 와 이자율 r 의 조합을 나타낸 것이다.
화폐공급량은 중앙은행(한국은행)이 관리하는 화폐(본원통화)의 크기뿐만 아니라, 은행의 신용창출 정도에 따라 결정된다. 한편, 화폐의 수요는 물건을 살 때 사용하기 위한 거래 수요(국민소득의 증가함수)나, 채권 보유에 따른 손실을 막기 위해 화폐를 보유하려는 투기적 수요(이자율의 감소함수)로 구성된다.(M2)
- 화폐수요량 (L) = 거래 수요 (L1) + 투기적 수요 (L2)
화폐 시장의 균형 조건은
- 실질 화폐 공급량 (Ms) = L(Y, r) = L1(Y) + L2(r)
국민소득이 늘어나면, 거래 수요에 따른 화폐의 수요가 높아진다. 이 때, 정해진 화폐 공급량에서 화폐의 공급과 수요를 일치시키려면, 투기적 수요에 따른 화폐의 수요를 감소시켜야 한다. 이는 채권 가격이 떨어져, 이자율이 올라가게 함으로써 달성된다.(국민소득은 감소하면서 균형을 이룬다)
이 때 국민소득과 이자율의 조합을 IS 곡선과 같이 세로축에 이자율, 가로축에 국민소득을 두고 그리면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우상향하는 곡선이 된다.
만약 경제가 LM 곡선 좌측에 있다면, 이자율이 높아져 화폐의 투기적 수요가 줄어들거나, 국민소득 수준이 낮아져 거래 수요가 줄어들기 때문에 화폐의 초과공급이 발생한다. 반대로 경제가 LM 곡선의 우측에 있는 경우에는, 화폐의 초과수요가 발생하는 것이다.
또한, 화폐 수요의 이자율 탄력성이 커질수록 LM 곡선의 기울기는 완만해진다. 실질 화폐 공급량 (명목 화폐 공급량 / 가격)의 증가는 LM 곡선을 오른쪽으로 이동시킨다
먼델-플레밍 모형
소개[편집]
먼델-플레밍 모형은 로버트 먼델과 마커스 플레밍이 정립한 경제 모델이다. 수 많은 방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IS-LM 모형이 폐쇄적인 자급자족 경제를 다룬데 반해, 먼델-플레밍 모형은 개방경제를 다루었다.
개관[편집]
먼델-플레밍 모형은 기본적으로 케인지언 거시경제모형의 대표격이라고 할 수 있는 IS-LM 모형에서 시작한다.
IS-LM 모형은 기본적으로 생산물 시장과 화폐시장의 균형만으로 거시경제변수들간의 관계를 설명한다.
이때 핵심이 되는 것은 가격의 비신축성이며 이러한 가격의 경직성이 보장되어야만 IS-LM 모형은 현실적인 설명력을 지닌 모델이 된다.
문제는 이러한 수요측면의 거시경제이론과 환율과 국제수지라는 개념을 통합할 수 있는가이다.
기존의 국제거시경제이론은 국제수지와 환율사이의 관계나 통화량과 국제수지사이의 관계만을 단편적으로 설명해줄 뿐
물가, 인플레이션, 생산, 실업 ,통화량 ,이자율 ,국제수지 ,환율 과 같은 주요 거시경제변수들을 모두 통합해서 설명하는 이론을 만들어 내지 못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상황에서 로버트 먼델과 마커스 플레밍은 각기 동일한 형태의 거시경제모델을 발표하는데 이것이 바로 먼델-플레밍 모델이다.
이런 새로운 경제이론의 처음 목적은 환율제도에 따라서 국가가 어떤 경제충격에 어떤 영향을 받을 것인지 규명하는 것이었다.
이는 브레튼 우즈 체제의 붕괴와 그 이후 각국의 변동환율제도로의 이행과정에 있어서 재정,금융정책을 어떤식으로 펼쳐야 하는지에 대한 물음의 답을 구하기 위한 것이었다.(케인즈의 단순한 LM-LS커브에서 Y(GNP→GDP로),국제수지등 기타변수를 수식에 대위시킨다 그러면 다음 아래식으로 변환된다
기본적인 설명[편집]
이 모델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이루어진다.
- (IS 곡선) : 생산물 시장의 균형식
- 는 GDP를 말한다, 는 소비, 는 투자, 는 정부지출 그리고 는 순수출이다.
생산물 시장 구성요소[편집]
-
- 는 투자, 는 이자율, 는 기대인플레이션, 는 1기간 이전의 GDP이다. 즉 작년의 GDP이다.
-
- 는 정부지출이다. 이 정부지출은 정부의 경제정책에 따라 그 규모가 천차만별이다.
국제수지 구성요소[편집]
-
- 는 경상수지이고 는 순수출이다. 즉 순수출과 경상수지는 같은 것이다.
-
- 는 자본이동성, 는 이자율, 는 외국의 이자율, 는 와 관련된 자본투자이다. 는 굉장히 가변적이다.
'금융.경제이론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이너스 금리인데 은행에 돈을 맡기다니…도대체 그 이유는 (0) | 2015.12.04 |
---|---|
예상보다 1조 적어…단기시장 금리 급등 우려한 듯 (0) | 2015.12.01 |
부동산 파생상품 '물꼬'…3천만원으로 타워팰리스 투자?????? (0) | 2015.11.24 |
[ 國民所得決定理論 , theory of income determination ] (0) | 2015.11.18 |
◆케인스 학파와 통화주의자들의 대결 (0) | 2015.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