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송당사자가 법률 지식이 없어
소가(訴價)를 정할 자료를 제출하지 않았다면 법원이 적극적으로 나서 자료 제출 기회를 주거나 관련 기관의 조사를 통해 소가를 확정해야 한다는
대법원 결정이 나왔다.
소가는 원고가 소송을 통해 주장하는 이익을 객관적으로 평가한 금액으로, 변호사 비용과 인지대 등 패소자가 부담하는
소송비용을 정하는 데 중요한 기준이 된다.
서울 영등포구 문래동 일대의 건물주인 양모씨 등 11명은 A건설의 신축공사로 자신들의
건물이 무너질 위험이 있다며 양씨를 선정당사자로 해 공사중지 가처분 신청을 법원에 냈다. 하지만 법원은 양씨의 신청을 기각하고, 피신청인의
변호사비용 등 소송 비용도 양씨가 부담하라고 결정했다.
A건설은 법원에 소송비용 확정 신청을 냈다. A건설은 변호사 보수로
2200만원을 지출했지만 이 가운데 얼마만큼을 인정받을 수 있는지 문제가 됐다. 대법원의 ‘변호사 보수의 소송비용 산입에 관한 규칙’은 소가에
따라 변호사 보수를 차등 인정하고 있는데, 양씨 소유의 건물 가액이 분명하지 않아 소가를 정하기 곤란했기 때문이다.
서울고법
민사25부(재판장 심상철 부장판사)는 “공사중지 가처분 사건은 민사소송 등 인지규칙에서 정한 소유권에 기한 물건의 방해배제를 구하는 소에
해당한다”며 “소가는 인지규칙 제12조5호 가목의 ‘목적물건 가액의 2분의 1로 산정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하지만 기록을 살펴봐도 양씨
등이 소유한 건물의 가액을 알 수 있는 자료를 찾아볼 수 없어 소가를 산출할 수 없다”면서 “인지규칙 제18조의2에 따라 소가를
2000만100원으로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서울고법은 소가 2000만100원을 기준으로 양씨가 부담해야 할 소송비용을 계산했다.
A건설이 지출한 변호사 보수는 대법원 규칙에 따라 75만여원이 인정됐고, 인지대 1000원과 송달료 9700여원 등 총 76만여원이 소송비용으로
확정됐다.
하지만 대법원 민사3부(주심 민일영 대법관)는 지난달 29일 A건설이 낸 소송비용액 확정신청사건(2014마329)에서
“소가를 다시 정하라”며 사건을 서울고법으로 돌려보냈다.
재판부는 결정문에서 “인지규칙은 법원은 소가 산정을 위해 직권으로 사실조사
또는 감정을 촉탁하고 필요한 사항의 보고를 요구할 수 있는 석명처분권을 규정하고 있다”며 “법원은 소가 산정과 관련해 필수적인 자료이거나
당사자가 부주의·오해·법률의 부지로 진술을 간과했음이 분명하다고 인정되는 사항에 대해 적극적으로 석명권을 행사해 당자사에게 자료 제출의 기회를
주거나 관련 기관에 조사를 촉탁하는 등 조치를 할 의무가 있다”고 밝혔다.
또 “건물의 가액은 소가 산정과 관련해 필수적인 정보라고
할 것이고, 그 확보가 불가능한 경우에 해당하지도 않는다”며 “적극적으로 당사자에게 건물의 가액을 알 수 있는 자료 제출을 요구하거나 관련
기관에 조사를 촉탁해 공백을 시정했어야 하는데도 그러지 않아 위법하다”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