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의 입지조건
토지매입에 있어 양택지는 마을이 중요한 사성에 들어갑니다.
즉, 마을의 지명과 마을의 산과들, 물 등의 배치와 유무는 사람들이 집터를 살 때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다음의 10가지 기본조건은 대지를 살 때 꼭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1. 대지는 교통이 좋은 곳을 우선 봐야 한다.
도로가 곧 돈이라는 말이 있듯이 택지를 취득 할 때에는 도로를 살펴야 한다.
도로는 필수적으로 첫째는 고속철도나 고속도로가 가까운가를 살피고, 다음은 국도와 지방도로의 접근성 그리고 대지에 마을도로가 연결되어 있는 등 집터에서 고속도로까지 일관성 있고 가깝게 연결이 되어야 한다.
필자는 재수가 좋은 건지 아니면 혜안이 있어서인지는 모르나 택지를 취득한 후 몇 년이 지나면 꼭 도로가 생겨 덕분에 땅금이 오르는 덕을 보기도 하였는데 이것은 도로가 곧 돈이기 때문이다.
실 예로 대전시 중구 어남동 의 집터 400평이 취득할 당시는 평당 12000원이었는데 도로가 나면서 쉽게 평당 5만원을 받을 수 있었다.
2. 남향에서는 북쪽산은 높고 남쪽산은 낮아야 한다.
남향집터란 풍수지리에서는 자좌오향 (子坐午向)인 남향을 말하는데 자세히는 임좌변향 (壬坐丙向), 자좌오향, 계좌정향( 癸坐丁向)을 통 털어서 남향판국의 집터라고 말한다.
이러한 남향집의 집터에서는 남쪽 산이 높으면 하루 종일 햇빛이 적게 들어 집터에 양기가 부족하게 된다.
반대로 북쪽 산이 낮으면 북풍이 집으로 불어와 집안에 살기를 가득하게 한다.
집터를 사는 사람이 남향 택지를 선호하기는 하지만 이처럼 집 뒤가 허하고 집 앞이 막혀있다면 이러한 집터를 살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러나 평지 같은 들판에서는 좌향을 따지지 않는데 이때는 산이 가까운 쪽은 등지고 산이 먼 쪽을 바라보는 것이 좋다.
또한 남향집터라 함은 딱히 정남향의 방위가 아니고, 동남향 , 남향, 남서향을 일컬어 남향판국의 집터라 한다.
* 남향판국 (南向版局) : 임좌병향(壬坐丙向), 자좌오향 (子坐午向), 계좌정향(癸坐丁向)
3. 서향의 마을에서는 서쪽 산이 낮고 동쪽 산이 높아야 한다.
서향 집터란 풍수지리에서는 묘좌유향(卯坐酉向)의 집터를 말하는데 자세히는 갑좌경향(甲坐庚向), 묘좌유향, 을좌신향(乙坐辛向)을 통털어서 서향판국의 집터라고 말한다.
즉, 배산 방향이 갑묘을좌 (甲卯乙坐)을 하고 있으며 임수방향이 (庚酉辛向)으로 바라보고 있는 집터이다.
토지매입에 있어 만약 서향집터를 취득하였다면 이를 매각할 경우에는 반드시 저녁 무렵에 물건을 보여주어야 한다.
특히 낮의 일조량이 적고 햇빛이 그리운 계절에는 저녁에 집터를 보여줌으로써 매각의 확률을 높일 수 있다.
필자의 경우, 서향 집터를 파는 과정에서 이상스럽게 팔리지 않아 그 이유를 분석해보니 필자의 입장만 생각하고 아침 일찍 현장답사를 시켰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어느 겨울 몹시 추운 날 저녁 무렵에 터를 보여주니 두말도 안하고 계약을 이룬 적이 있었다.
그 이유는 서향집터의 경우 서쪽방향의 산이 낮으므로 늦게까지 햇빛이 집터를 향하기 때문이다.
서향판국(西向版局) : 갑좌경향(甲坐庚向)
묘좌유향(卯坐酉向)
을좌신향(乙坐辛向)
4.마을은 좌향(坐向)에 관계없이 배산임수의 터를 취해야한다.
양택지는 기본적으로 터가 지기(地氣)와 양기(陽氣)를 잘 받아야 하는데, 지기란 들판 같은 평지에서 받는 게 아니고 살아 움직여 내려온 배산에서 기운을 받는 것이다.
그리고 양기는 햇빛을 말하는데 일조량이 많으려면 당연히 임수(들판이 있는 임수)로 바라보아야 한다.
즉, 배산이라 함은 집터 뒤에는 산이 있어야하고 임수라 함은 집터 앞에 들판이 있어야 함을 말한다.
필자의 경우 토지경매 15년의 경력에 단 한 번의 실수를 하지 않을 수 있었던 것은 단지 배산임수의 풍수지리를 근간으로 토지를 취득하였기 때문이다.
되지도 않는 땅만 보러 다니다가 배산임수의 터를 만나게 되면 번개처럼 낚아채가 버린다.
물론 땅 금도 만족할 만큼 받을 수 있다.
배산임수 (背山臨水) ; 풍수지리에서 말하는 명당 터의 기본으로 당처위에는 산이고 당처 앞에는 물이 있다는 뜻
5. 양택지의 마을 터는 임수가 포를 해야 한다.
물은 살아 움직이는 생명체로 자연의 하천이나 강은 항상 구불구불 S자 모양으로 진행한다.
물은 풍수지리에서 재물을 말하므로 이 물이 마을을 피해 도망가거나 등을 돌리거나 들어오는 수구 (水口)는 적은데 나가는 파구가 넓어서는 안 된다.
항상 물은 양택지의 마을을 감싸고 돌아가야 한다.
지도를 펼쳐보면 하천이나 강이 S코스로 돌아 갈 때 S의 등 쪽에는 마을이 없고 S의 굽은 안쪽에는 항상 마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물이 감싸고 있는 들판은 토림이 항상 기름지기 때문에 농사도 잘되고 마을도 풍요롭다.
어쩌다가 물이 등 돌린 터의 집을 보면 바로 쓰러져 버릴 듯 모양새가 빈곤함을 한눈에 볼 수 있다.
집터를 구하는 사람은 동네의 분위기를 살피는데 누가 풍요롭고 인심 좋은 마을을 싫어하겠는가?
포 (包) : 터를 감싸고 있는 형국(形局)
6. 마을의 입지는 주변경관이 수려해야 한다.
풍수학에서는 지령은 인걸이라는 말이 있듯이 산세가 수려하면 빼어난 미인이 태어나며 토질이 비옥하면 인심이 좋고 풍요로워 잘사는 마을이 형성된다.
반대로 산과계곡이 험난하고 보기가 싫으면 사람들이 이상하게 생기고 인심이 흉흉할 수밖에 없다.
특히, 집터 자체는 조금 못생겼다 하더라도 주변 사성이 빼어나면 내 땅 잘생기고 마을이 못생긴 경우보다 오히려 낫다.
이는 마치 배우자를 선택할 때 집안이나 학력 경제적 능력 등을 따지는 것과 다를 바가 없다.
필자는 토지경매를 하면서 마을이나 사성이 좋으면 취득 하고자 하는 땅이 못생겨도 일단 낙찰을 받은 다음 성형수술을 하여 터를 만들었고 결과는 항상 필자 편이었다.
7. 마을은 산들이 포를 해야 양택지 이다.
양택지가 형성이 되려면 허허벌판의 평야이어서는 안 된다.
옛사람들이 자루터라고 한 것은 마을의 들어가는 입구는 수구장문이라 하여 좁고 가늘게 박혀 있어야하고 일단 수구장문을 지나가면 넓은 들판이 산들에 둘러싸여 있어야 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이렇게 산들이 마을을 포 하면 겨울에는 따뜻하고 여름에는 시원하여 인심이 후하고 농사가 잘돼 풍요로운 마을을 만들어 간다.
마치 요새와 같고, 피난처와 같아서 밖에서는 마을이 보이지 않고 마을에서는 밖을 한눈에 바라다 보이는 형국이다.
또한 산들이 겹겹이 쌓여 있으면 더욱 길지의 명당 터라고 할 수 있다.
*수구장문 (水口長門) : 물길이 직수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아주는 형국으로서 좌청룡과 우백호가 대문과 같은 역할을 하는 모양.
8. 양택지는 양기 (일조량)가 많아야 좋다.
양택지 주변의 사성 (砂盛)이 너무 높으면 햇빛이 적게 비추인다.
양택지는 단어에서 의미하듯이 양기(陽氣)를 적게 받으면 결격이다.
음양에서 볼때 산은 부동의 음에 해당된다.
이음을 다스리는 것은 햇빛이라는 양인 것이다.
양택의 기준이 바로 일조량이라면, 주변의 사성이 너무 높거나 과협지나 계곡 골짜기 등에 위치한 마을은 일조량이 당연히 적어 마을로서는 적합지 않다.
그러나 주거전용이 아니고 잠시 쉬었다가는 펜션이나 별장 등은 계곡이나 협곡 골짜기 등을 선호한다.
사성 (砂盛) : 마을주변에 어울려있는 산, 들, 강의 구성을 말한다.
9. 마을의 주변에는 공해시설과 소음이 없어야한다.
내가 사는 마을주변이나 주택주변에 혐오시설이나 소음이 발생한다면 다른 여타의 좋은 조건을 갖추었다 하더라도 살 사람은 없다.
예를 들면 , 돼지나 소를 키우는 대형축사가 있으면 특히 여름에 냄새가 나고 파리 모기가 많아 사람이 살기가 대단히 어렵다.
또한 쓰레기매립장 같은 공해시설 역시 일 년 내내 가스냄새로 마을이 고통을 받는다.
철탑 같은 것이 있어 마을이 선하지가 되면 역시 마을사람들은 온갖 질병에 시달린다.
쏜살같이 내려가는 큰 강이나 폭포 등에서도 소리가 크게 들려 정상적인 가정생활을 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것들이 주변에 있으면 양택지로써 부적합하다.
토지매입에서 공해시설과 소음이 진동하는 동네는 무조건 피하여야 한다.
10. 인심 좋은 마을이 살기가 좋다.
어떤 마을에 가서 사람들에게 말을 걸어보면 동네의 인심을 알 수 있다.
얼굴에 환한 미소를 지으며 금 새 친근감으로 다가오면 당장이라도 이사 와서 살고 싶은 충동을 느낀다.
반대로, 대답도 시원찮고 퉁명스럽게 억지로 대답을 한다면 정이 가지 않고 땅을 거져 준다 하여도 이런 동네는 이사 오고 싶지 않을 것이다.
사람은 어울려 살아야하는 집단적이고 사회적인 동물이기에 함께 어울릴 이웃의 인심은 대단히 중요하다.
토지경매에 있어 마을과 어울려 조화를 이룰 수 있는 터를 취해야 한다.
새로운 단지를 형성한 전원주택 단지보다는 마을에 흡수되는 터가 좋다는 뜻입니다.
'풍수 이야기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상적 비보풍수 (0) | 2018.03.03 |
---|---|
자연과 풍수지리 (0) | 2018.02.22 |
풍수를 고려한 주택 계획 (0) | 2018.02.22 |
사람의 머리는 어느 방향에 두는 것이 좋은가? (0) | 2018.02.22 |
[스크랩] 태극기 속에는 우주 만물의 조화와 질서가 있다 (0) | 2018.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