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여받은 주택을 양도하였을 때 양도소득세는 어떻게 과세됩니까?
증여받은 주택을 양도하였을 때 양도소득세는 어떻게 과세됩니까? □ 부부인 상태에서 배우자가 주택 1채를 증여 받은 후에 그 증여받은 주택을 부부인 상태에서 양도한 경우 부부의 보유기간 및 거주기간을 합하여 계산하며, 양도 당시 부부와 그 세대원 명의로 다른 주택이 없으면 1세대 1주택으로 보아 양도소득세가 비과세됩니다. o 양도인(예 : 아들)이 동일 세대원인 가족(예 : 아버지)으로부터 주택1채를 증여받은 후에 그 증여받은 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증여자의 보유기간과 수증자의 보유기간을 합하여 3년 이상 보유하고, 양도 당시 양도인과 그 세대원 명의로 다른 주택이 없으면 1세대1주택으로 보아 양도소득세가 비과세됩니다. - 이 경우 양도당시 양도자와 수증자가 반드시 동일세대원이어야 합니다. - 양도당시 증여자와 수증자가 동일 세대원이 아닐 경우에는 수증자가 증여받은 날로부터 계산하여 2년 이상 보유하고, 양도 당시 양도인과 그 세대원 명의로 다른 주택이 없어야 합니다. |
'세금 관련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하루 때문에 세금 더 낼 수 있다 (0) | 2015.05.08 |
---|---|
[스크랩] 남의 명의로 받은 낙찰, 되팔 때 양도소득세는 누가 낼까? (0) | 2015.05.08 |
[판결] 대법원 전합 "주상복합건물 토지에도 종부세 적법" (0) | 2015.04.17 |
구주택 신축 후 매도할 때 양도소득세는 (0) | 2015.03.23 |
자금출처 못 밝혀도 봐주는 금액은? (0) | 2015.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