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례는 “담보권의 실행을 위한 부동산의 입찰절차에 있어서, 주택임대차보호법
제3조에 정한 대항요건을 갖춘 임차권보다 선순위의 근저당권이 있는 경우에는, 낙찰로 인하여 선순위 근저당권이 소멸하면 그 보다 후순위의 임차권도
선순위 근저당권이 확보한 담보가치의 보장을 위하여 그 대항력을 상실하는 것이지만,
낙찰로 인하여 근저당권이 소멸하고 낙찰인이 소유권을 취득하게
되는 시점인 ‘낙찰대금지급기일 이전’에 선순위 근저당권이 다른 사유로 소멸한 경우에는, 대항력 있는 임차권의 존재로 인하여 담보가치의 손상을
받을 선순위 근저당권이 없게 되므로 임차권의 대항력이 소멸하지 아니한다.”라고 하였습니다(대법원 1996. 2. 9. 선고 95다49523
판결, 1998. 8. 24.자 98마1031 결정, 2003. 4. 25. 선고 2002다70075 판결).
따라서 위 사안에서 乙도
경매절차의 매수인인 귀하에 대하여 대항력을 주장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선순위 근저당권의 존재로 후순위 임차권의 대항력이 소멸하는 것으로 알고
부동산을 경매절차에서 매수하였으나, 그 이후 선순위 근저당권의 소멸로 인하여 임차권의 대항력이 존속하는 것으로 변경된 경우에는 매각부동산의
부담이 현저히 증가하게 되므로, 경매절차의 매수인에 대한 구제책이 문제되는데,
이러한 경우 경매절차의 진행 정도에 따라서 구제방법을 구분하여
살펴보아야 할 것입니다.
즉,● 매수가격의 신고 후 매각허가결정이 있기 전에는 매각불허가신청을 하여 구제 받아야 할 것이고,● 매각허가결정이 있은
후 매각대금납부이전까지는 매각허가결정의 취소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민사집행법 제127조 제1항, 대법원 1998. 8. 24.자 98마1031
결정).
그러나 ●매각대금이 납부된 이후에는 경매절차의 매수인은 매각대금의 납부로 소유권을 취득하게 되므로(민사집행법 제135조),
매각불허가신청 또는 매각허가결정의 취소를 구할 수는 없다고 보아야 할 것입니다.
그런데「민법」제575조는 “매매의 목적물인 부동산에 ‘등기된
임대차계약이 있는 경우’에 매수인이 이를 알지 못한 때에는
이로 인하여 계약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는 경우에 한하여
★매수인은 계약을 해제할 수
있고.
기타의 경우에는 ★손해배상만을 청구할 수 있고, 그 권리는 매수인이 그 사실을 안 날로부터 1년 내에 행사하여야 한다”라고 규정하고 있고,
또한 같은 법 제578조는 경매의 경우에도 위 규정에 의하여 계약의 해제와 대금의 감액을 청구할 수 있고, 채무자의 자력이 없는 때에는 경락인은
대금의 배당을 받은 채권자에 대하여 그 대금전부나 일부의 반환을 청구할 수 있으나,
손해배상은 ●채무자가 물건 또는 권리의 흠결을 알고 고지하지
아니하거나 ●채권자가 이를 알고 경매를 청구한 때에 경락인은 채무자나 채권자에게 청구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선순위 근저당권의
존재로 후순위 임차권의 대항력이 소멸하는 것으로 알고 부동산을 매수하였으나, 그 이후 선순위 근저당권의 소멸로 인하여 임차권의 대항력이 존속하는
것으로 변경된 경우에도 위 규정을 유추적용 하여야 할 것으로 보이는데,
이러한 담보책임은 경매절차의 매수인이 경매절차 밖에서 별소(別訴)에
의하여 채무자 또는 채권자를 상대로 추급하는 것이 원칙이라고 할 것이나,
아직 배당이 실시되기 전이라면, 이러한 때에도 경매절차의 매수인으로
하여금 배당이 실시되는 것을 기다렸다가 경매절차 밖에서 별소에 의하여 담보책임을 추급하게 하는 것은 가혹하므로, 이 경우 경매절차의 매수인은
민사소송법 제613조(현행 민사집행법 제96조)를 유추적용 하여 집행법원에 대하여 경매에 의한 매매계약을 해제하고 납부한 매각대금의 반환을
청구하는 방법으로 담보책임을 추급할 수 있다고 하여야 할 것입니다(대법원 1997. 11. 11.자 96그64 결정 참조).
따라서
귀하의 경우에도 배당이 실시되기 이전이라면 집행법원에 대하여 경매에 의한 매매계약을 해제하고 납부한 매각대금의 반환을 청구하는 방법으로 구제를
받아야 할 것이고, 이미 배당이 끝난 후에는 채무자에 대하여 계약을 해제한 후 채무자 또는 채권자에게 부당이득반환을 청구하여야 할 것입니다.
다만, 위와 같은 경우 계약을 해제함이 없이 채무자나 매각대금을 배당 받은 채권자들을 상대로 경매목적물상의 대항력 있는 임차인에 대한
임대차보증금에 상당하는 매각대금의 전부나 일부를 부당이득 하였다고 하여 바로 그 반환을 구할 수 있는 것은 아님을 유의하여야 할 것입니다(대법원
1996. 7. 12. 선고 96다7106 판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