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시사항 | 인수주의에 따라 진행된 경매절차에서 배당이의의 소가 허용되는지 여부(소극) | ||
종 류 | 대법원 | 사건번호 | 2011다83691 |
사 건 명 | 배당이의 | 주 심 | |
선 고 일 | 2014-01-23 | 결 과 | 파기환송 |
유치권에 의한 경매도 강제경매나 담보권 실행을 위한 경매와 마찬가지로 목적부동산 위의 부담을 소멸시키는 것을 법정매각조건으로 하여 실시되고 우선채권자뿐만 아니라 일반채권자의 배당요구도 허용되며, 유치권자는 일반채권자와 동일한 순위로 배당을 받을 수 있다.
다만 집행법원은 부동산 위의 이해관계를 살펴 위와 같은 법정매각조건과는 달리 매각조건 변경결정을 통하여 목적부동산 위의 부담을 소멸시키지 않고 매수인으로 하여금 인수하도록 정할 수 있다(대법원 2011. 6. 15.자 2010마1059 결정 참조).
소멸주의에 따른 경매절차에서는 우선채권자나 일반채권자의 배당요구와 배당을 인정하므로 그 절차에서 작성된 배당표에 대하여 배당이의의 소를 제기하는 것이 허용되지만,
인수주의에 따른 경매절차에서는 배당요구와 배당이 인정되지 아니하고 배당이의의 소 허용되지 아니한다. 이 사건 경매는 유치권에 의한 경매이므로 집행법원의 매각조건 변경결정이 없는 이상 원칙적으로 소멸주의에 따라 진행되었다고 볼 것이지만,
기일입찰조서나 경매사건검색의 기재에 의하면 집행법원이 이 사건 경매를 인수주의에 따라 진행하기로 매각조건 변경결정을 하였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고,
위 경매가 인수주의에 따라 진행되었다면 이 사건 배당이의의 소는 허용되지 않는다고 할 것이며, 이처럼 어느 소송형태가 허용되는지는 직권조사사항에 해당하므로, 원심으로서는 마땅히 이 사건 경매에 관하여 인수주의를 채택하는 내용의 매각조건 변경결정이 있었는지를 심리한 다음 이 사건 배당이의의 소가 허용되는지를 판단하였어야 한다. |
'부동산 법률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유물분할 (2013다 7856) (0) | 2014.02.07 |
---|---|
채권자대위소송에서 피보전채권이 인정되지 않아 소각하판결이 있었던 경우 그 판결의 기판력이 채권자가 채무자를 상대로 제기한 소송에 미치는지 여 (0) | 2014.01.27 |
수탁자가 신탁부동산근저당권설정 한 경우 수탁자의 채권자에게 사해행위인지 (0) | 2014.01.23 |
[민사소송/민사집행] 편면적 강행법규에 반하는 제소전화해조서의 효력 (0) | 2014.01.21 |
임대차 계약 때 점포 미리 비워주기로 구두약정 (0) | 2014.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