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법률 정보

은행측서 '근저당 설정비 약정' 설명 안했어도

LBA 효성공인 2013. 10. 21. 16:03



은행이 근저당권 설정비용 부담자를 선택하는 약정을 고객에게 제대로 설명하지 않아 고객이 비용을 부담했더라도 이를 되돌려 받을 수 없다는 판결이 나왔다.

울산지법 민사4부(재판장 성익경 부장판사)는 10일 이모(42)·최모(32)씨가 외환은행을 상대로 낸 부당이득금반환 청구 항소심(2013나2610)에서 “은행은 근저당권 설정비용을 돌려주지 않아도 된다”며 원고 패소 판결을 했다.

재판부는 판결문에서 “이씨 등은 약정이 고객의 선택권을 보장하고 있는 듯 보이지만 고객은 은행이 대출을 거절할까봐 근저당권 설정비용을 같이 부담하자고 말을 할 수 없어 실질적으로 은행이 고객에게 비용을 부담시키는 것이라고 주장한다”며 “그러나 대출 관련 부대비용을 누가 부담하느냐에 따라 금리 등 대출조건이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금융거래상 상식이므로 은행이 부대비용 약정을 이씨 등에게 설명하지 않았더라도 부대비용을 반납할 의무는 없다”고 밝혔다.

재판부는 “약정이 불공정한지 아닌지는 조항만을 따로 놓고 볼 것이 아니라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한다”며 “2007년 이후 은행이 부동산 담보설정비용을 부담한 비율이 48~80%까지 이르는 점, 다른 은행들을 분석해본 결과 고객과 은행 간 비용 부담 비율이 대출금액과 신용등급에 상관없이 균등한 점을 볼 때 불리한 약정이라고 볼 수 없다”고 설명했다.

2008년과 2009년 이씨와 최씨는 1억여 원을 대출받기 위해 은행을 방문해 본인 아파트에 은행 이름으로 근저당권을 설정했다. 대출 약정에는 근저당권 설정비용을 고객과 은행이 합의해 부담자를 정한다고 돼 있었다. 이씨와 최씨는 설정비용을 부담하기로 했고 근저당을 설정하는 데 60여만 원을 썼다. 2012년 이씨와 최씨는 “근저당권 설정비용 부담자를 정하는 약관은 불공정하다”며 소송을 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