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사(風水師) 지관(地官) 이야기
지리와 풍수술에 능통하여 땅의 길흉을 점지하는 사람을 풍수사, 지사, 지관이라고 부른다. 지관(地官)이라는 명칭은 처음에는 왕의 능을 만들 때 지리를 살피기 위해서 땅 보는 일을 맡게 된 자를 가르킨데서 유래한다.
왕릉을 선정할 때 나라 전체의 풍수사 가운데서 우수한 몇 명만을 선정하여 상지관(相地官)으로 임명하였는데 일단 지관에 임명되면 실력이 인정되었고 풍수사 중에서 첫째라는 권위가 주어졌다. 다른 벼슬도 마찬가지이지만 한번 지관에 임명되면 퇴임 후에도 지관이라는 호칭은 계속 쓰여졌다. 그러나 실제 지관에 임명된 일이 없는 풍수하는 사람도 경칭으로 지관이라고 불렀으며, 특별히 나라의 일에 관여하기 위해서 뽑은 풍수를 국풍(國風)이라고 불렀다.
풍수는 한문을 읽고 해석할 수 있는 사람이 아니면 공부가 불가능했기 때문에 승려나 상류계층이 아니면 풍수사가 될 수 없었다. 따라서 풍수사의 지위는 다른 점복술(占卜術)을 하는 사람과는 달리 사회에서 대우와 존경을 받았다. 풍수사에 대한 보수는 일정하지가 않았다. 학문하는 사람은 누구나 풍수에 흥미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자리를 잡아주는데 일정액의 보수를 정하는 일은 없었다.
다만 자신의 부모가 안주할 좋은 묘지를 선정해 주었기 때문에 부모에게 효도를 했다는 기쁨과 그 묘지의 발복으로 자손들이 부귀번창 할거라는 기대에서 될 수 있는 한 좋은 대우를 해주었다.
그러나 풍수설화의 대부분은 명당(明堂)은 하늘이 감추고 땅이 숨기고 있다가 효자나 효부(孝婦) 등 착한 심성을 가지고 남에게 공덕을 많이 베푼 사람에게는 풍수에 통달한 승려나 풍수사가 우연히 나타나 좋은 자리를 점지해주는 것으로 묘사된다.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보아 풍수사들은 대부분 지관으로서 꼿꼿한 자존심을 가지고 있었으며 부(富)보다는 명예를 존중하였다.
<참고서적: 무라야마 지쥰(村山智順), 조선의 풍수, 민음사>
다음의 설화(說話)는 이를 잘 설명해주고 있다.
어느 날 숙종 임금이 평복을 입고 민심을 살피려고 밀행을 다니는데 가난하게 생긴 한 부부가 슬프게 울면서 냇가에 돌아가신 어머니를 장사 지내려는 것을 보았다. 풍수에 일가견을 가지고 있던 임금이 깜짝 놀라 가까이 가서 보니 광중(壙中)에는 어느새 물이 가득 차 있었다.
가난한 부부는 물이 차 오른 광중을 보면서 어찌할 바를 몰라 더욱 슬프게 울고만 있었다. 숙종 임금은 아무리 가난하고 무지한 백성이라고는 하지만 묘를 쓰려면 산에 써야지 어찌 냇가에 쓰는지 의아하고 기가 막혔다. 임금은 두 부부에게 물었다. "여보게! 물이 금방 이렇게 솟아나는 곳에 어찌 묘를 쓰려고 하는가?" "저희들도 잘 모르겠습니다. 어제 밤에 오랜 병환 끝에 어머니께서 돌아가셨는데 아침에 저기 저 높은 언덕에 사시는 지관 어른이 찾아와서 저희들의 평소 효심에 감동했다 하면서 오늘 이 시간에 이 자리에다 장사를 지내야 발복한다고 자리를 잡아 주었습니다.
그 분은 이 지방에서는 아주 유명한 분인데 이런 자리일 줄은 몰랐습니다." 임금은 수행한 신하에게 쌀 백 가마를 효성이 지극한 이 부부에게 주라 명령하고, 또 상지관을 불러 좋은 자리를 잡아주라고 하였다. 화가 난 임금은 자리를 잡아 준 지관이 살고 있는 언덕 위의 집으로 갔다.
지관은 다 쓰러져 가는 집에서 아주 가난하게 살고 있었다. 임금은 자신의 신분을 밝히지 않고 크게 꾸짖었다.
"나는 한양 사는 이 서방이라고 하는데 듣자니 당신이 지리를 좀 안다하던데 어찌 착하고 가난한 사람을 골탕 먹이려고 냇가에다 자리를 잡아 주었는가?" 그러자 지관은 껄껄껄 웃으면서 대답하기를 "저 자리는 시신이 광중에 들어가기도 전에 쌀 백 가마가 생기는 금시발복 할 자리며, 나라의 국풍이 나서서 다시 좋은 자리로 옮겨줄 자리란 말이오. 내 저들 부부의 효성에 감동하여 자리를 잡아 준 것인데 무엇이 잘못되었소." 임금은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금방 자신이 조치한 내용과 똑같았기 때문이다.
임금은 다시 물었다. "영감님은 그렇게 잘 알면서 호의호식하지 않고 어찌하여 이런 오막살이에서 살고 있오?" 그러자 지관은 다시 한번 크게 웃으면서 대답하기를 "내가 잘 살려면 남을 속이고 도둑질을 해야 하는데 그런 것이 무슨 소용이 있단 말이요. 여기는 비록 오막살이 이기는 하지만 나라의 임금이 찾아올 자리요. 이 보다 더한 영광이 어디 있단 말이요" 임금은 대경 실색을 하고 말았다.
6) 여의도(汝矣島)는 한강을 거슬러 올라가는 배 형국
국회의사당과 KBS, MBC, SBS 등 방송국을 비롯해서 대한생명 63빌딩과 각 증권 회사 건물, 아파트가 숲을 이루고 있는 여의도는 한강에 있는 섬이다.
조선시대 도성인 경복궁에서 보았을 때 여의도는 한강 물이 서울을 감싸고 흘러 마지막으로 빠져나가는 외수구(外水口)로서 율도인 밤섬과 함께 나란히 있다.
크고 작은 두 섬이 한강 물 가운데 있으므로 유속을 조절하고, 서울을 형성하는 보국의 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즉, 서울을 만들기 위해서 백두산에서부터 출발하여 천리를 넘게 달려온 음(陰)인 용(산맥)과 역시 천리 이상을 흘러온 양(陽)인 한강수가 음양교배를 하여 서울이라는 큰 보국(保局)을 만든다. 이때 한강수가 빠르게 흘러 나간다면 용과 물의 충분한 음양교배가 어렵고 서울을 둘러싼 보국 안의 생기(生氣) 역시 흩어지고 말 것이다.
그런데 여의도와 밤섬이 있으므로 한강의 유속을 느리게 하여 양인 물의 기운을 충분하게 공급해주고 있는 것이다. 서울이 확장되기 시작하면서 1968년 여의도 개발을 착수하여 밤섬을 폭파하고 그 흙과 모래를 모두 파다가 여의도 섬을 돋았는데 이로 인해 한강의 자연 환경과 생태계가 심하게 파괴되었다.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여의도 개발로 얻은 득보다는 실이 더 크게 나타났을지도 모른다. 최근에는 여의도와 밤섬의 생태계가 복원되어가고 있어 다행스러운 일이다.
이처럼 여의도는 서울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면서 자체적으로는 사방이 물로 둘러싸여 있어 수세국(水勢局)의 명당을 이룬다.
혈의 생기는 물이 보호하는데 사방에 물이 있기 때문에 기가 하나도 흩어지지 않는 명당이다. 여의도 전체적인 모습은 마치 배가 한강을 거슬러 올라가는 행주형(行舟形)의 모습을 하고 있다.
풍수지리에서 행주형 명당은 부(富)를 상징한다. 배에는 승객뿐만 아니고 값나가는 곡식과 금은 보화를 가득 싣고 가기 때문이다. 배가 물을 거슬러 올라가야 더욱 힘을 쓰고 발전이 있는 것이지 물 따라 흘러가면 힘과 발전이 없다. 우연인지 일부러 그렇게 배치한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여의도는 물을 거슬러 올라가는 행주형에 맞게 건물이 배치되었다.
63빌딩은 마치 배 머리에 있는 돛대와 같고, 국회의사당은 배 뒤편에 있는 기관실이며, 가운데에 있는 아파트 단지는 선실이고, 금융가와 상가가 있는 곳은 금은 보화로 가득 찬 화물실에 해당된다. 배가 순조롭게 항해하기 위해서는 기관실이 건재해야 한다.
나라가 편안하고 발전을 하려면 기관실인 국회가 제대로 역할을 해야 한다. 항상 시끄럽고 요란한 국회와 여의도에 초고층 건물을 짖는다는 뉴스를 보면서 혹시나 배가 균형이 맞지 않아 침몰하는 것은 아닌지 염려스럽다.
'풍수 이야기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명(照明)을 이용한 명당 만들기 (0) | 2017.01.07 |
---|---|
풍수(風水)를 적용해 설계를 한다는 것. (0) | 2017.01.07 |
좌향과 배치 (0) | 2016.12.06 |
명당(明堂) 만들기의 기본원리 (0) | 2016.11.03 |
풍수지리의 시작과 배경 (0) | 2016.10.18 |